행정사사무소 시율의 누리집입니다.
형사·민사·행정 사건 유리한 증거자료 제출

교통사고 재조사 사실조사

2019-10-24
조회 74


운전면허의 종류




✅ 제1종 운전면허
  • 대형면허       
  • 보통면허
  • 소형면허
  • 특수면허 (대형·소형견인차면허 , 구난차면허)


✅ 제2종 운전면허

  • 보통면허
  • 소형면허
  •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


✅ 연습운전면허
  • 제1종 보통연습면허
  • 제2종 보통연습면허



2019-10-24
조회 262


자동차 운전면허 발급권자


✅ 자동차 운전면허발급권자 : 지방경찰청장    

    *법적근거 도로교통법 제80조(운전면허)

  • 자동차등을 운전하려는 사람은 지방경찰청장으로부터 운전면허를 받아야 한다. 
  • 다만, 제2조제19호나목의 원동기를 단 차 중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제2조제1호에 따른 교통약자가 최고속도 시속 20킬로미터 이하로만 운행될 수 있는 차를 운전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면허란 ?   법령상의 용어, 일반적으로 금지되어 있는 행위를 특정한 경우에 허가하거나, 특정한 권리를 설정하는 행정행위(행정처분)



▢ 운전면허 번호구분 


시·도경찰청
지역 표시
지역 숫자
발급가능 운전면허 시험장
서울특별시경찰청
서울
11
강남, 도봉, 서부, 강서
부산광역시경찰청
부산
12
부산북부, 부산남부
경기도남부경찰청
경기
13
안산, 용인
강원도경찰청
강원
14
춘천, 원주, 태백, 강릉
충청북도경찰청
충북
15
청주, 충주
충청남도경찰청
충남
16
예산
전라북도경찰청
전북
17
전북(전주)
전라남도경찰청
전남
18
전남(나주), 광양
경상북도경찰청
경북
19
문경, 포항
경상남도경찰청
경남
20
마산
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
제주
21
제주
대구광역시경찰청
대구
22
대구
인천광역시경찰청
인천
23
인천
광주광역시경찰청
광주
24
없음
대전광역시경찰청
대전
25
대전
울산광역시경찰청
울산
26
울산
경기도북부경찰청
경기
28
의정부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
충남
16
없음












2019-02-05
조회 1201


자동차에 대한 관련된 용어 정리

17. "차마"란 다음 각 목의 차와 우마를 말한다.

  가. "차"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자동차

        2) 건설기계

        3) 원동기장치자전거

        4) 자전거

        5) 사람 또는 가축의 힘이나 그 밖의 동력(動力)으로 도로에서 운전되는 것. 다만, 철길이나 가설(架設)된 선을 이용하여 운전되는 것, 유모차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보행보조용 의자차는 제외한다.

  나. "우마"란 교통이나 운수(運輸)에 사용되는 가축을 말한다.


18. "자동차"란 철길이나 가설된 선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원동기를 사용하여 운전되는 차 (견인되는 자동차도 자동차의 일부로 본다)로서 다음 각 목의 차를 말한다.

  가. 「자동차관리법」 제3조에 따른 다음의 자동차.  다만, 원동기장치자전거는 제외한다.

       1) 승용자동차

       2) 승합자동차

       3) 화물자동차

       4) 특수자동차

       5) 이륜자동차

   나. 「건설기계관리법」 제26조제1항 단서에 따른 건설기계

          * 제26조(건설기계조종사면허) ① 건설기계를 조종하려는 사람은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건설기계조종사면허를 받아야 한다. 다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건설기계를 조종하려는 사람은 「도로교통법」 제80조에 따른 운전면허를 받아야 한다.  <개정 2012. 2. 22., 2013. 3. 23.>

④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소형 건설기계의 건설기계조종사면허의 경우에는 시ㆍ도지사가 지정한 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소형 건설기계의 조종에 관한 교육과정의 이수로 제3항의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술자격의 취득을 대신할 수 있다.  <개정 2015. 8. 11.>

           *제73조(건설기계조종사면허의 특례) ①법 제26조제1항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도로교통법」 제80조의 규정에 의한 운전면허를 받아 조종하여야 하는 건설기계의 종류는 다음 각호와 같다.  <개정 1997. 4. 7., 2006. 5. 30., 2008. 3. 14., 2013. 3. 23.>

   1. 덤프트럭

   2. 아스팔트살포기

   3. 노상안정기

   4. 콘크리트믹서트럭

   5. 콘크리트펌프

   6. 천공기(트럭적재식을 말한다)

   7. 영 별표 1의 규정에 의한 특수건설기계중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건설기계

      도로보수트럭, 콘크리트믹서트레일러, 아스팔트콘크리트재생기, 트럭지게차  +  3톤미만 지게차


*특수건설기계의 지정

[시행 2018. 5. 8.]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265호, 2018. 5. 8., 일부개정.]


②법 제26조제4항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소형건설기계"란 다음 각 호의 건설기계를 말한다.  <개정 2007. 8. 17., 2008. 3. 14., 2010. 7. 20., 2012. 5. 7., 2013. 3. 23., 2014. 11. 7., 2016. 7. 20.>

1. 5톤 미만의 불도저

2. 5톤 미만의 로더

2의2. 5톤 미만의 천공기. 다만, 트럭적재식은 제외한다.

3. 3톤 미만의 지게차

4. 3톤 미만의 굴삭기

4의2. 3톤 미만의 타워크레인

5. 공기압축기

6. 콘크리트펌프. 다만, 이동식에 한정한다.

7. 쇄석기

8. 준설선

③제2항에 따른 3톤미만의 지게차를 조종하고자 하는 자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53조에 적합한 종류의 자동차운전면허를 소지하여야 한다.  <신설 1999. 1. 27., 2016. 12. 30.>


19. "원동기장치자전거"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차를 말한다.

가. 「자동차관리법」 제3조에 따른 이륜자동차 가운데 배기량 125시시 이하의 이륜자동차

나. 배기량 50시시 미만(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경우에는 정격출력 0.59킬로와트 미만)의 원동기를 단 차(「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의2에 따른 전기자전거는 제외한다)


20. "자전거"란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 및 제1호의2에 따른 자전거 및 전기자전거를 말한다.


21. "자동차등"이란 자동차와 원동기장치자전거를 말한다.



좀 복잡한데요...자동차 용어의 정의는 중요합니다.  

일단 교통법규 위반 적용 대상이 되느냐 안되느냐의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정리해드립니다.

이렇게 요약해 드립니다.



     








2019-02-05
조회 115


일반적 용어 정의


2. "자동차전용도로"란 자동차만 다닐 수 있도록 설치된 도로를 말한다.

3. "고속도로"란 자동차의 고속 운행에만 사용하기 위하여 지정된 도로를 말한다.

4. "차도"(車道)란 연석선(차도와 보도를 구분하는 돌 등으로 이어진 선을 말한다. 이하 같다), 안전표지 또는 그와 비슷한 인공구조물을 이용하여 경계(境界)를 표시하여 모든 차가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5. "중앙선"이란 차마의 통행 방향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도로에 황색 실선(實線)이나 황색 점선 등의 안전표지로 표시한 선 또는 중앙분리대나 울타리 등으로 설치한 시설물을 말한다. 다만, 제14조제1항 후단에 따라 가변차로(可變車路)가 설치된 경우에는 신호기가 지시하는 진행방향의 가장 왼쪽에 있는 황색 점선을 말한다.

6. "차로"란 차마가 한 줄로 도로의 정하여진 부분을 통행하도록 차선(車線)으로 구분한 차도의 부분을 말한다.

7. "차선"이란 차로와 차로를 구분하기 위하여 그 경계지점을 안전표지로 표시한 선을 말한다.

7의2. "노면전차 전용로"란 도로에서 궤도를 설치하고, 안전표지 또는 인공구조물로 경계를 표시하여 설치한 「도시철도법」 제18조의2제1항 각 호에 따른 도로 또는 차로를 말한다.

8. "자전거도로"란 안전표지, 위험방지용 울타리나 그와 비슷한 인공구조물로 경계를 표시하여 자전거가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3조 각 호의 도로를 말한다.

9. "자전거횡단도"란 자전거가 일반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안전표지로 표시한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10. "보도"(步道)란 연석선, 안전표지나 그와 비슷한 인공구조물로 경계를 표시하여 보행자(유모차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보행보조용 의자차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가 통행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11. "길가장자리구역"이란 보도와 차도가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표지 등으로 경계를 표시한 도로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한다.

12. "횡단보도"란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안전표지로 표시한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13. "교차로"란 ‘십’자로, ‘T’자로나 그 밖에 둘 이상의 도로(보도와 차도가 구분되어 있는 도로에서는 차도를 말한다)가 교차하는 부분을 말한다.

14. "안전지대"란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나 통행하는 차마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표지나 이와 비슷한 인공구조물로 표시한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15. "신호기"란 도로교통에서 문자ㆍ기호 또는 등화(燈火)를 사용하여 진행ㆍ정지ㆍ방향전환ㆍ주의 등의 신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람이나 전기의 힘으로 조작하는 장치를 말한다.

16. "안전표지"란 교통안전에 필요한 주의ㆍ규제ㆍ지시 등을 표시하는 표지판이나 도로의 바닥에 표시하는 기호ㆍ문자 또는 선 등을 말한다.

17의2. "노면전차"란 「도시철도법」 제2조제2호에 따른 노면전차로서 도로에서 궤도를 이용하여 운행되는 차를 말한다.

22. "긴급자동차"란 다음 각 목의 자동차로서 그 본래의 긴급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를 말한다.

가. 소방차

나. 구급차

다. 혈액 공급차량

라.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동차

23. "어린이통학버스"란 다음 각 목의 시설 가운데 어린이(13세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 이하 같다)를 교육 대상으로 하는 시설에서 어린이의 통학 등에 이용되는 자동차와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4조제3항에 따른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의 한정면허를 받아 어린이를 여객대상으로 하여 운행되는 운송사업용 자동차를 말한다.

가. 「유아교육법」에 따른 유치원, 「초ㆍ중등교육법」에 따른 초등학교 및 특수학교

나. 「영유아보육법」에 따른 어린이집

다. 「학원의 설립ㆍ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학원

라.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체육시설

24. "주차"란 운전자가 승객을 기다리거나 화물을 싣거나 차가 고장 나거나 그 밖의 사유로 차를 계속 정지 상태에 두는 것 또는 운전자가 차에서 떠나서 즉시 그 차를 운전할 수 없는 상태에 두는 것을 말한다.

25. "정차"란 운전자가 5분을 초과하지 아니하고 차를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주차 외의 정지 상태를 말한다.

26. "운전"이란 도로(제44조ㆍ제45조ㆍ제54조제1항ㆍ제148조ㆍ제148조의2 및 제156조제10호의 경우에는 도로 외의 곳을 포함한다)에서 차마 또는 노면전차를 그 본래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것(조종을 포함한다)을 말한다.

27. "초보운전자"란 처음 운전면허를 받은 날(처음 운전면허를 받은 날부터 2년이 지나기 전에 운전면허의 취소처분을 받은 경우에는 그 후 다시 운전면허를 받은 날을 말한다)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을 말한다. 이 경우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만 받은 사람이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 외의 운전면허를 받은 경우에는 처음 운전면허를 받은 것으로 본다.

28. "서행"(徐行)이란 운전자가 차 또는 노면전차를 즉시 정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느린 속도로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29. "앞지르기"란 차의 운전자가 앞서가는 다른 차의 옆을 지나서 그 차의 앞으로 나가는 것을 말한다.

30. "일시정지"란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가 그 차 또는 노면전차의 바퀴를 일시적으로 완전히 정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31. "보행자전용도로"란 보행자만 다닐 수 있도록 안전표지나 그와 비슷한 인공구조물로 표시한 도로를 말한다.

32. "자동차운전학원"이란 자동차등의 운전에 관한 지식ㆍ기능을 교육하는 시설로서 다음 각 목의 시설 외의 시설을 말한다.

가. 교육 관계 법령에 따른 학교에서 소속 학생 및 교직원의 연수를 위하여 설치한 시설

나. 사업장 등의 시설로서 소속 직원의 연수를 위한 시설

다. 전산장치에 의한 모의운전 연습시설

라. 지방자치단체 등이 신체장애인의 운전교육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 가운데 지방경찰청장이 인정하는 시설

마. 대가(代價)를 받지 아니하고 운전교육을 하는 시설

바. 운전면허를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다양한 운전경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로가 아닌 장소에서 운전교육을 하는 시설

33. "모범운전자"란 제146조에 따라 무사고운전자 또는 유공운전자의 표시장을 받거나 2년 이상 사업용 자동차 운전에 종사하면서 교통사고를 일으킨 전력이 없는 사람으로서 경찰청장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선발되어 교통안전 봉사활동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2019-02-04
조회 856


도로교통법 "도로"의 정의


✅ 도로교통법 제2조에 규정된 도로의 정의

"도로"란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곳을 말한다.

  1. 「도로법」에 따른 도로 :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2. 「유료도로법」에 따른 유료도로 : 통행료를 징수하는 도로
  3. 「농어촌도로 정비법」에 따른 농어촌도로 : 도로법에 규정되지 아니한 도로(읍 또는 면 지역의 도로만 해당)로서 농촌지역 주민의 교통편익과 생산·유통활동 등에 공용되는 공로 중 제4조 및 제6조에 따라 고시된 도로
  4. 그 밖에 현실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사람 또는 차마(車馬)가 통행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로서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장소 : 사도, 광장, 공원, 공지 등


 


✅ 도로 인정여부에 대한 판례 정리 


  • 도로를 부정한 판례

       - 나이트 클럽 출입자를 위한 주차장

       -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주점 옆 공터

       - 대형건물 부속 주차장

       - 병원구내 통로 중 주차구역선 외의 통로부분

       - 소년원의 경내

       - 학교구내

       - 광주고속터미널

  

 

  • 도로를 인정한 판례

       - 울산현대조선소 구내

       - 도정공장 내 마당

       - 농로·임도·광산도

       - 인천항내 도로, 부두, 야적장

       - 춘천시청 내 광장 주차장

       - 고속도로휴게소








교통사고의 사실조사

교통사고로 인하여 차 또는 물건의 손상으로 인한 물적 피해와 운전자, 승차자, 보행자 등의 인적피해가 발생하게 되는데, 먼저 민.형사상의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당사자로서는 신속한 피해회복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분쟁의 소지를 양산함으로써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실제적인 교통안전대책은 사고에 대한 인간·차량·도로환경의 요인과 원인을 찾아내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즉, 교통사고조사의 목적은 크게 공정한 책임분배와 교통안전대책의 기초자료 활용에 있다.

행정사 사실조사 내용

사고발생에서부터  현장조사, 자료수집·분석, 사고재현 등 일련의 절차를 거쳐 사고 원인을 찾아내는 과정을 진행합니다.

  • 사고발생 : 일시, 장소, 사고경위, 사고차량 및 당사자등 기초정보기록
  • 현장조사 : 목격자조사, 차량조사, 물리적흔적조사, 현장측정 등의 자료조사
  • 자료 수집 및 분석 : 자료의 나열·검증, 충돌전·후 상황의 가정
  • 사고재현 : 층돌전·후 상황의 재현, 인간·차량·도로요인을 검증
  • 원인규명 : 사고재현을 통한 인간·차량·도로의 원인을 도출
공정한 책임분배
  • 도로교통법 위반 등의 형사적·행정적 책임규명
  • 물적·인적피해에 대한 신속한 회복실현
  • 과실 정도에 따른 민사적 책임분배
  • 당사자분쟁에 의한 사실관계 규명

교통안전대책의 기초자료
  • 교통사고에 대한 인간·차량·도로환경 요인과 원인의 분석
  • 교통안전교육의 기초자료
  •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인간공학적 도로 및 차량설계
  • 충돌안전을 고려한 차량설계
  •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도로구조 및 안전시설 설치·관리
  • 교통안전지도·단속의 효율화
  • 교통안전 관련법령의 제정 및 개선
사실조사보고서 등 작성
  • 행정사 조사보고서   작성
  • 녹취록 작성 및 사실확인증명서등 작성
  • 사진 및 동영상등 관련 자료
  • 자동차보험 구상금분쟁심의위원회 접수 지원

※ 근거법령 : 행정사법 제2조 제1항 제7호, 시행령 제2조 제7호, 규칙 제13조


메뉴 바로가기

상호명 : 행정사사무소 시율

대표 : 행정사 박영수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117 , 동아빌딩 11층

사업자등록번호 : 373-09-00880

전화번호 : 010.8730.7800

펙스 : 050.4426.7800

이메일  : minwoninkorea@naver.com


© 2018 Siyul Administrative office. 

All Rights Reserved.